이탈리아 로마와 나폴리 중간에 있는 로카세카가족성(城)에서 태어난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아퀴노의 백작 란둘프와 어머니 테오도라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불과 다섯 살의 나이로 몬테카시노의 베네딕토 수도원으로 보내져서
교육을 받았고, 1239년경에는 그의 교육을 마무리 짓기 위하여 나폴리 대학교를
다녔으며,1244년에 가족들의 완강한 반대를 물리치고 도미니코 회원이 되었다.
이때 가족들은 그를 강제로 데려다가 15개월 동안이나 로카세카 성에
감금시킨 적도 있었다.
그는 뜻을 굽히지 않았기 때문에 1245년에 다시 수도회로 돌아갈 수
있었고, 1245년부터 3년 동안을 파리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프랑스 파리와 독일 쾰른에서 성 대 알베르투스(11월 15일)의
문하생으로 공부하여 1256년에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250년과 1551년 사이의 어느 때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성 토마스의 스승이었던 성 대 알베르투스는 그에 대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이 말없는 황소는 그의 울부짖음으로 전 세계를 가득 채울 것이다."
그 후 그는 주로 나폴리, 아나니, 오르비에토, 로마 그리고 비테르보에서
가르쳤으며, 1259-1264년 사이에
"대이교도대전"(對異敎徒大全, Summa Contra Gentiles)을 마무리 지으면서
그의 저작 중 가장 유명한
"신학대전"(神學大全, Summa Theologiae)의 집필에 착수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1269년에는 수도사제와 교구사제간의 논쟁에 말려들었고,
기에 브라반트의 시게르와 요한 페캄 그리고 파리의 주교 에티엔느 탕피에의
철학적인 가르침을 반대하고 나섰다.
그는 리옹 공의회에 참석하여 동방과 서방 교회의 재일치 가능성을 토의하라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1월 10일)의 부름을 받았으나, 리옹으로 가는 도중
테라치나 교외 포사 누오바에 있는 시토 수도원에서 1274년 3월 7일 운명하였다.
그는 1323년 7월 21일에 교황 요한 22세에 의하여 시성되었고,
1567년에는 교황 비오 5세에 의하여 교회학자로 선언되었다.
그리고 1880년에 교황 레오 13세에 의하여 모든 대학교와 대학 그리고 학교의
수호성인으로 선언되었다.
그에게 붙여진 칭호는 '보편적 박사'(Doctor Communis) 또는
'천사적 박사'(Doctor Angelicus)이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영원하신 아버지"(Aeterni Patris)에서 모든 신학생들이
그의 사상을 연구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의 주요 사상은 곧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인 가르침이 되었다.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그리스도교 최대의 신학자이며, 그의 사상은 그의
사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지배하고 있고, 그의 저서들은
신앙과 이성 간의 예리한 구분으로 특징지어지는 탁월한 저작들이다.
그의 미완성의 대작인 "신학대전"은 현대 가톨릭 신학의 뿌리로 받아들여질 만큼
위대한 신학 사상을 담고 있다.
이러한 그의 지적 능력 외에도 아퀴나스는 지극히 겸손하고
거룩한 사람이었다.
그는 환시, 탈혼 그리고 계시를 체험하였으며,
'그리스도의 성체와 성혈 대축일' 성무일도를 집필했고,
오늘날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많은 찬미가도 지었다.
또한 그는 주님의 기도(Pater Noster), 사도신경(Symbolum Apostolicum) 그리고
성서 일부에 대한 주해서를 썼다. 한마디로 그는 지성과 성덕의 금자탑이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