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聖人]들과 함께

1월28일(목) 聖토마스 아퀴나스님..등

H-Simon 2010. 1. 27. 11:17

 

                * 1월28일(목)  聖토마스 아퀴나스님..등 *
                    
 
 

 

                                            성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 등대지기 - 은희 / 해바라기 / 트윈폴리오 / 하모니카연주 / 기타연주

 

    16.jpg
                    

 

<일 람>......** 표시는 성인 개별로 전기를 수록하신 분    ..함께 참조할 같은 내용임
 번호   성 인 명   영 어 명   축 일   신 분   지 역   연 도 
1 글라스티아노 Glastian 1월 28일 주교 파이프(Fife) +830년
2 레오니데 Leonides 1월 28일 순교자   +304년
3 레우치오 Leucius 1월 28일 순교자   +251년
4 복자 루지에로 Ruggiero 1월 28일 수사 토디(Todi) +1237년
5 리카르도 Richard 1월 28일 수도원장 보첼르(Vaucelles) +1169년
6 복녀 마리아 ** Mary 1월 28일 과부,환시자 피사(Pisa) +1431년
7 바울리노 Paulinus 1월 28일 주교 아퀼레이아(Aquileia) 726-804년
8 발레리오 Valerius 1월 28일 주교 사라고사(Zaragoza) +315년
9 베드로 놀라스코** Peter Nolasco 1월 28일 설립자   1189-1258년
10 베드로 토마스 ** Peter Thomas 1월 28일 주교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1305-1366년
11 복자 아마데오 Amadeus 1월 28일 주교 로잔(Lausanne) 1110-1159년
12 복자 안토니오  Anthony 1월 28일 수사 아만돌라(Amandola) 1355-1450년
13 안티모 Anthimus 1월 28일 수도원장 브랑톰(Brantome) +8세기
14 복자 야고보 ** James 1월 28일 자선가,순교자   +1304년
15 야고보 James 1월 28일 은수자   +6세기
16 복자 에지디오 Aegidius 1월 28일 은수자 로렌자나(Lorenzana) 1443-1518년
17 오도 Odo 1월 28일 주교 보베(Beauvais) 801-880년
18 요한  John 1월 28일 신부,수도원장 레오마이(Reomay) 425-539년경
19 율리아노  Julian 1월 28일 주교 쿠엥카(Cuenca) 1127-1208년
20 복자 율리아노 모느와르  Julian Maunoir 1월 28일 선교사 브르타뉴(Bretagne) 1606-1683년
21 성녀 칸네라 Cannera 1월 28일 동정녀 스캐터리(Scattery) +530년
22 칼리니코 Callinicus 1월 28일 순교자   +251년
23 토마스 아퀴나스** Thomas Aquinas 1월 28일 수사,신학자,교회학자   1224/1225-1274년
24 티르소  Thyrsus 1월 28일 순교자   +251년
25 플라비아노 Flavian 1월 28일 순교자 치비타베키아(Civita Vecchia) +304년
총 25 성인

 

 

                                  
 
 
 
 
 
      ▶토마스 아퀴나스(1.28)
 
성인명 토마스 아퀴나스(Thomas Aquinas)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수사, 신학자, 교회학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224/1225-1274년
같은이름 도마, 아퀴노, 토마스아퀴나스, 토머스
 
 

 


   이탈리아 로마와 나폴리 중간에 있는 로카세카가족성(城)에서 태어난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아퀴노의 백작 란둘프와 어머니 테오도라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불과 다섯 살의 나이로 몬테카시노의 베네딕토 수도원으로 보내져서

교육을 받았고, 1239년경에는 그의 교육을 마무리 짓기 위하여 나폴리 대학교를

다녔으며,1244년에 가족들의 완강한 반대를 물리치고 도미니코 회원이 되었다.

 이때 가족들은 그를 강제로 데려다가 15개월 동안이나 로카세카 성에

감금시킨 적도 있었다.

   그는 뜻을 굽히지 않았기 때문에 1245년에 다시 수도회로 돌아갈 수

있었고, 1245년부터 3년 동안을 파리에서 수학하였다.

그는 프랑스 파리와 독일 쾰른에서 성 대 알베르투스(11월 15일)의

문하생으로 공부하여 1256년에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250년과 1551년 사이의 어느 때에 사제로 서품되었다.

성 토마스의 스승이었던 성 대 알베르투스는 그에 대해 이런 말을 한 적이 있다.

"이 말없는 황소는 그의 울부짖음으로 전 세계를 가득 채울 것이다."

그 후 그는 주로 나폴리, 아나니, 오르비에토, 로마 그리고 비테르보에서

가르쳤으며, 1259-1264년 사이에

 "대이교도대전"(對異敎徒大全, Summa Contra Gentiles)을 마무리 지으면서

그의 저작 중 가장 유명한

 "신학대전"(神學大全, Summa Theologiae)의 집필에 착수하였다.

   파리로 돌아온 1269년에는 수도사제와 교구사제간의 논쟁에 말려들었고,

기에 브라반트의 시게르와 요한 페캄 그리고 파리의 주교 에티엔느 탕피에의

철학적인 가르침을 반대하고 나섰다.

그는 리옹 공의회에 참석하여 동방과 서방 교회의 재일치 가능성을 토의하라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10세(1월 10일)의 부름을 받았으나, 리옹으로 가는 도중

테라치나 교외 포사 누오바에 있는 시토 수도원에서 1274년 3월 7일 운명하였다.

   그는 1323년 7월 21일에 교황 요한 22세에 의하여 시성되었고,

1567년에는 교황 비오 5세에 의하여 교회학자로 선언되었다.

그리고 1880년에 교황 레오 13세에 의하여 모든 대학교와 대학 그리고 학교의

수호성인으로 선언되었다.

그에게 붙여진 칭호는 '보편적 박사'(Doctor Communis) 또는

'천사적 박사'(Doctor Angelicus)이다.

교황 레오 13세는 회칙 "영원하신 아버지"(Aeterni Patris)에서 모든 신학생들이

그의 사상을 연구해야 한다고 역설하였다.

그의 주요 사상은 곧 가톨릭 교회의 공식적인 가르침이 되었다.

   성 토마스 데 아퀴노는 그리스도교 최대의 신학자이며, 그의 사상은 그의

사후부터 현재까지 가톨릭 교회의 가르침을 지배하고 있고, 그의 저서들은

신앙과 이성 간의 예리한 구분으로 특징지어지는 탁월한 저작들이다.

그의 미완성의 대작인 "신학대전"은 현대 가톨릭 신학의 뿌리로 받아들여질 만큼

위대한 신학 사상을 담고 있다.

 이러한 그의 지적 능력 외에도 아퀴나스는 지극히 겸손하고

거룩한 사람이었다.

그는 환시, 탈혼 그리고 계시를 체험하였으며,

'그리스도의 성체와 성혈 대축일' 성무일도를 집필했고,

오늘날 교회에서 사용하고 있는 많은 찬미가도 지었다.

또한 그는 주님의 기도(Pater Noster), 사도신경(Symbolum Apostolicum) 그리고

성서 일부에 대한 주해서를 썼다. 한마디로 그는 지성과 성덕의 금자탑이었다.

 
 
 
 
 
 
   ▶마리아(1.28)
 
성인명 마리아(Mary)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복녀
신분 과부, 환시자
활동지역 피사(Pisa)
활동연도 +1431년
같은이름 까따리나, 만치니, 메리, 미리암, 카타리나, 캐서린
 


   카타리나 만치니(Catharina Mancini)로도 알려진 마리아는 피사의 귀족가문

출신으로 이탈리아 내에서 정치적 격동이 소용돌이 칠 당시에 태어났다.

그녀는 어려서부터 환시와 기적적인 일로 유명했다.

다섯 살 때 그녀는 환시 중에 시민의 지도자 중 한 명인

복자 베드로 감바코르타(Petrus Gambacorta, 6월 17일)가 피사의 한 저택

지하 감옥에서 고문을 받고 있는 것을 보았다.

그녀가 간절히 기도했을 때 그를 묶었던 줄이 끊어져 풀려났다고 한다.

그때 성모 마리아가 이 어린 소녀에게 그 남자가 언젠가 그녀의 후원자가

될 것이니 매일 그를 위해 기도하라고 말했다.

   카타리나 만치니는 결혼보다는 수도생활을 원했으나 부모의 뜻에 순명해

12살의 나이로 결혼을 하였다. 그러나 16세에 남편을 잃고 어쩔 수 없이 다시

결혼을 하여 7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러나 25세의 나이에 두 번째 남편과 자녀를 모두 잃고 기도와 애덕에만

전념하게 되었다.

그녀는 엄격한 일정대로 기도와 선행, 단식과 금욕을 실천하였다.

그리고 자신의 집을 병원으로 개조해서 병들고 가난한 이들을 데려와 마치

주님을 섬기듯이 돌보았다.

   그 당시 시에나(Siena)의 성녀 카타리나(4월 29일)가 피사를 방문해서

그녀와 함께 거룩한 우정을 맺었다.

카타리나 만치니는 성녀 카타리나의 권유로 도미니코회 재속회원이 되었다.

그러면서 마리아(Maria)라는 이름을 받았다. 그녀는 복자 베드로 감바코르타의

누이동생인 복녀 클라라 감바코르타(Clara Gambacorta, 4월 17일)와

다른 몇 명의 회원들과 함께 더욱 엄격한 수도생활을 하였다.

그러면서 새롭고 더욱 엄격한 수도원을 설립하게 되는데,

복자 베드로 감바코르타가 그것을 지어주었다.

이로써 그가 미래에 그녀의 후원자가 될 것이라는 동정 마리아의 예언이

이루어졌다.

마리아는 그녀의 친구인 복녀 클라라 감바코르타가 선종한 후 원장으로서 죽을

때까지 정의롭고 거룩하게 산타 크로체(Santa Croce) 수녀원을 운영하였다.

그녀에 대한 공경은 1855년 교황 비오 9세에 의해 승인되었다.

 
 
 
 
 
    ▶베드로 놀라스코(1.28)
 
성인명 베드로 놀라스코(Peter Nolasco)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설립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189-1258년
같은이름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Francisco de Zurbaran, The Vision of St Peter of Nolasco


   성 베드로 놀라스코(Petrus Nolasco)는 프랑스의 귀족 가문 태생으로

15세 때에 부친과 사별하면서 막대한 유산을 상속받았다.

그 후 그는 에스파냐의 바르셀로나로 가서 막대한 그의 재산을

무어인들에게 포로로 잡힌 그리스도인들의 석방 대속금으로 사용하였다.

그러던 중에 그는 어떤 환시를 보고, 그 지시에 따라

그리스도인 노예 해방을 위한 수도회 설립을 결정하였다.

 

그는 성 라이문두스(Raymundus, 1월 7일)의 도움으로 '속량의 성모회'

(메르체다리오회)를 설립하였다.

이 수도회는 아라곤의 왕 야고보의 지지와 더불어 1235년에는

교황 그레고리우스 9세로부터 승인을 받았다.

이 회원들은 노예 석방을 위한 일은 무엇이든 하였다.

그런 과감한 행동을 하던 성 베드로도 한때 포로생활을 하기도 했다.

그는 1628년 교황 우르바누스 8세(Urbanus VIII)에 의해 시성되었으며,

1664년 보편교회에서 그의 축일을 기념하도록 선포되었다.

 
 
 
 
 
 
  ▶베드로 토마스(1.28)
 
성인명 베드로 토마스(Peter Thomas)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활동지역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활동연도 1305-1366년
같은이름 베드루스, 페드로, 페트루스, 피터

 


   성 베드로 토마스(Petrus Thomas)는 프랑스 남서부 가스코뉴(Gascogne)의

브레이유(Breil)라는 조그마한 마을에서 태어났다.

그곳에는 성당도 없었지만, 다행히 카르멜회와 연관을 맺게 되고 그의 능력을

인정받아 콩동에서 수련을 시작하였다.

1342년 그는 카르멜회의 총경리가 되었다.

이 직책 때문에 그는 아비뇽(Avignon)으로 갔는데, 그곳에는 교황이 머무는

곳이라 즉시 그의 성덕이 고위성직자들에게 널리 알려졌다.

   그는 설교에도 매우 뛰어났으므로 교황 클레멘스 6세의 장례식에서

강론하도록 초청받기도 하였다.

또한 그는 제노바(Genova), 밀라노(Milano), 베네치아(Venezia)의 교황대사로서

힘든 정치적 문제들을 원만히 타결하는 수완을 보였다.

그는 1354년에 파티와 리파리, 1359년에 코론, 1363년에 칸디아의 대주교

그리고 1364년에 콘스탄티노플의 명의 총대주교가 되었다.

 그는 교황 우르바누스 5세(Urbanus V)를 위해서 세르비아, 헝가리

그리고 콘스탄티노플을 여행하면서 투르크족에 대항할 십자군을 조직하였다.

1365년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를 공격하는 원정대에 참가하여

화살을 맞고 심한 부상을 당한 그는 3개월 뒤에 키프로스에서 운명하였다.

그래서 그를 순교자로 공경하는 지방도 있다.

그에 대한 공경은 1608년에 승인되었다.

 
 
  
 
 
 
    ▶야고보(1.28)
 
성인명 야고보(James)
축일 1월 28일
성인구분 복자
신분 자선가,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304년
같은이름 야고버, 야고부스, 야코보, 야코부스, 자크, 제임스

 


   야고보(Jacobus)는 이탈리아 롬바르디아(Lombardia) 지방 키우시 부근의

치타 델레 피에베(Citta delle Pieve)에서 어느 부잣집 아들로 태어나 법률을

공부하였다.

러나 그는 사제가 될 마음을 굳히고 엄격한 생활부터 시작하였다.

고향 근방의 폐허화된 어느 성당을 수리하면서부터 그는 병자들을

돌보려는 마음을 굳히고 집을 수리하여 그들을 받아들였다.

그래서 그는 자신의 재산과 법률 지식을 억압받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그는 자선기금을 부정하게 착복한 키우시의 주교 때문에

구호소가 점점 황폐화되어 가는 것을 보고 그 기금을 돌려줄 것을 요구했으나

거절당했다. 그래서 야고보는 일반법정과 교회법정 모두에 키우시 교구의

주교에 대한 소송을 제기해 승소했으나,

결국 그 주교가 보낸 사람들에 의해 살해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