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聖人]들과 함께

9월19일(토-복되신童貞마리아)聖야누아리오님..등

H-Simon 2009. 9. 18. 09:00

 

 
9월19일(토-복되신童貞마리아)聖야누아리오님..등

 

                       

                하느님,   

               성인 성녀님들과 함께하는 가운데,

               주 예수님을 닮아 가려는 저희를,

 

               아버지의 한 없으신 사랑으로 강복해 주옵소서.

 

               우리 주 그리스도를 통하여 기도드리나이다....아멘

 

                              ****         **** 

<일 람>......** 표시는 성인 개별로 전기를 수록하신 분    ..함께 참조할 해당 번호

번호   성 인 명   영 어 명   축 일   신 분   지 역   연 도 
1 닐로** Nilus 9월 19일 주교,순교자 페트라(Petra) +310년
2 데시데리오 ☞11 Desiderius 9월 19일 순교자   +304년
3 도리메돈 Dorymedon 9월 19일 원로원 의원,순교자   +277년
4 성녀 마리아 Mary 9월 19일 동정녀,수녀 세레벨론(Cerevellon) 1230-1290년
5 사바시오 Sabbatius 9월 19일 순교자   +277년
6 세콰노** Sequanus 9월 19일 신부,수도원장   +580년경
7 소시오 ☞11 Sosius 9월 19일 부제,순교자 미세노(Miseno) +305년경
8 성녀 수산나 Susanna 9월 19일 동정 순교자   +362년
9 아쿠시오☞11 Acutius 9월 19일 순교자   +305년경
10 알퐁소 데 오로스코 Alphonsus de Orozco 9월 19일 수도원장,설교가   1500-1591년
11 야누아리오 Januarius 9월 19일 주교,순교자 베네벤토(Benevento) +305년경
12 성녀 에밀리아 Emily 9월 19일 설립자 로다트(Rodat) 1787-1852년
13 에우티키오☞11 Eutychius 9월 19일 순교자   +305년경
14 엘리야 ☞1 Elias 9월 19일 주교,순교자 페트라(Petra) +310년
15 성녀 콘스탄시아 Constantia 9월 19일 순교자   +1세기
16 테오도로 Theodore 9월 19일 주교 캔터베리(Canterbury) 602-690년
17 트로피모 Trophimus 9월 19일 순교자   +277년
18 페스토☞11 Festus 9월 19일 부제,순교자   +305년경
19 펠레오☞1 Peleus 9월 19일 주교,순교자 페트라(Petra) +310년
20 펠릭스 Felix 9월 19일 순교자   +1세기
21 성녀 폼포사 Pomposa 9월 19일 동정 순교자   +835년
22 프란치스코 Francis 9월 19일 증거자,수사 캄포로소(Camporosso) 1804-1866년
23 프로쿨로☞11 Proculus 9월 19일 부제,순교자 포추올리(Pozzuoli) +305년경
총 23 성인

 

 

  ▶닐로(9.19)
 
성인명 닐로(Nilus)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페트라(Petra)
활동연도 +310년
같은이름 닐루스
 

   황제 갈레리우스 시대에 팔레스티나의 총독 피르밀리아누스는 그리스도인들을
키프로스의 탄광이나 또는 레바논 등 다른 여러 지역의 탄광에서 강제 노동을 시킨 적이
있었다. 그는 그리스도인들의 노동력이 떨어지면 즉시 화형에 처하곤 했다.
이때 이집트 출신 주교 세 명과 일단의 사제와 평신도로 구성된 동료 그리스도인들이 순교하였다.
성 펠레우스와 성 닐루스(또는 닐로) 그리고 성 엘리야 주교는 그리스도교의 지도자란 죄목으로
체포되어 감옥에 갇혔고, 오늘날의 요르단 남부인 페트라 인근에서 생매장을 당해
순교할 때까지 강제 노동에 시달렸다.
 

☞ < 14, 19 > 번....함께 참조할 내용입니다.

 
 
 
 
 
 
  ▶세콰노(9.19)
 
성인명 세콰노(Sequanus)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신부, 수도원장
활동지역  
활동연도 +580년경
같은이름 세과노, 세과누스, 세콰누스
 

   거룩한 수도자 성 세콰누스(또는 세콰노)는 프랑스 동부 부르고뉴의 머스몽 출신으로
베레이-수-드레에서 한동안 은수자로 살았다. 이때 그는 손수 움막을 짓고 매일 시편 전부를
외웠으며 거의 단식으로 일관하였다.
랑그르의 주교가 그에게 사제직을 주었다.  이 수도자는 지방 성직자들의 끊임없는
박해를 받았지만 자신은 조금도 개의치 않았다.
그는 움막에서 주로 성서공부에 정열을 쏟는 한편 수도자적인 덕행을 실천에 옮기는데 신경을
썼기 때문이다. 또 그는 센 강변의 세제스트르에 수도원을 세웠으며, 이 수도원을 중심으로
큰 마을이 생겼는데 이것이 오늘의 생-센이다.
 
 
 
 
     ▶알퐁소 데 오로스코(9.19)
 
성인명 알퐁소 데 오로스코(Alphonsus de Orozco)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수도원장, 설교가
활동지역  
활동연도 1500-1591년
같은이름 알폰소, 알폰수스, 알퐁수스

 


   16세기 에스파냐 교회에서 가장 엄격하면서도 위대한 신심가로 손꼽히는 성 아우구스티누스 회의
수도자인 성 알폰수스 데 오로스코는 1500년 10월 17일 톨레도 지방의 오로페사에서 태어났고,
불과 6세 때에 사제가 되려는 뜻을 분명히 했다고 한다.
그는 탈라베라와 톨레도에서 공부하고 그 다음에는 살라망카 대학교를 다녔다.
이때 빌라노바의 성 토마스(Thomas, 9월 22일)의 유명한 설교를 듣고 수도생활에 큰 매력을 느껴
22세 때 성 아우구스티누스 회의 수도복을 입게 되었다.

   서원 후 30년 동안 성 알폰수스 데 오로스코는 교육과 설교 일에만 전념하여 대단한 성공을
거두었고, 고해신부로도 명성이 자자하였다. 그는 4차례나 각기 다른 지방의 장상으로 지냈고,
1554년에는 바야돌리드의 원장으로 취임하였고, 2년 뒤에는 궁중 설교가로 임명받았다.
그는 부임하자마자 즉시 귀족을 상대로 설교하여 지대한 공을 세웠으며,
세빌라의 원장으로 있을 때 성모님의 환시를 보았다고 한다.
이때 성모님은 하느님의 영광과 영혼 구원을 위한 펜으로 사용하겠다고 말씀하신 것으로
전해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주의 모친께 대한 사업에 정력을 기울였고, 수많은 신심서적을
저술하였다. 그는 또 장상의 명에 따라 “고백록”을 썼다. 그는 1882년 1월 15일 교황 레오 13세에
의해 시복되었고, 2002년 5월 19일 성 베드로 광장에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야누아리오(9.19)
 
성인명 야누아리오(Januarius)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순교자
활동지역 베네벤토(Benevento)
활동연도 +305년경
같은이름 야누아리우스, 자누아리오, 자누아리우스

 


   이탈리아의 나폴리 출신으로 알려져 있는 성 야누아리우스(또는 야누아리오)는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가 그리스도교 박해를 시작할 즈음에 베네벤토의 주교로 활동하고 있었다.
그의 친구이자 미세노의 부제이던 성 소시우스와 포추올리의 부제인 성 프로쿨루스 그리고
평신도인 성 에우티키우스와 아쿠티우스가 신앙 때문에 투옥되었다는 소식에 접하자
야누아리우스는 황급히 감옥으로 달려갔다. 이때 그는 부제 성 페스투스와 함께 체포되어
캄파니아의 관리 앞으로 끌려갔다.

   그들은 모두 맹수들에게 던져졌으나 동물들이 아무런 해를 입히지 않았기 때문에
관리들은 그들의 목을 베었다. 야누아리우스의 유해 일부는 나폴리로 옮겨졌고,
이곳에는 야누아리우스의 마른 피가 유리병 속에 모셔져 지금까지 18회에 걸쳐
공식적으로 전시되었다.
그런데 그 딱딱하게 굳은 피가 시대에 따라 묽은 피로 변한다고 한다. 현대 과학으로도
그 이유가 해명되지 않고 있다. 신심 깊은 나폴리 사람들은 그것을 기적으로 간주한다.
 

☞ < 2, 7, 9, 13, 18, 23 > 번....함께 참조할 내용입니다.

 
 
 
 
 
 
    ▶에밀리아(9.19)
 
성인명 에밀리아(Emily)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설립자
활동지역 로다트(Rodat)
활동연도 1787-1852년
같은이름 아이밀리아, 애밀리아

 


   로다트의 성녀 마리아 굴리엘마 에밀리아는 프랑스 로데즈 근방에서 태어나 샤토 드 지날에서
할머니의 손에 의해서 자랐다. 17세 때부터 그녀는 여러 가지 자선활동에 정성을 쏟았고,
세 번이나 다른 수도원에 들어갔으나 정착하는 데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다가 아베 마르티의 도움과 격려에 힘입은 그녀는 1815년에
빌러프랑슈 드 루에르규에 무료 학교의 문을 열었다. 약간의 반대는 있었으나 이 일은
성공적이었는데, 이곳에서부터 빌러프랑슈의 성가정회가 발전되어 여러 지방으로
확산되었다. 에밀리아 원장은 이 사업의 발전과 확장을 위하여 30여 년 동안 헌신하였다.
그 동안에 그녀는 만성적인 질병으로 고생하다가 운명하였다.
그녀는 1950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테오도로(9.19)  
 
성인명 테오도로(Theodore)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활동지역 캔터베리(Canterbury)
활동연도 602-690년
같은이름 데오도로, 데오도루스, 떼오도로, 떼오도루스, 테오도루스

 


   소아시아 실리시아의 타르수스 출신인 성 테오도루스는 아테네에서 수학한 후 로마에서
바실리우스 회원이 되었다.
그는 60세 되던 해에 교황 성 비탈리아누스(Vitalianus, 1월 27일)로부터 캔터베리의 대주교로
임명되어 다음 해에 착좌하였다. 그는 잉글랜드의 모든 교회를 방문하여 규율을 바로
잡았으며, 전례음악을 영국 교회에 도입하였다. 그는 특히 성서에 해박한 지식을 가진
사람으로 명성이 높았다.

   그는 영국 최초의 전국적인 교회회의를 673년에 소집하였고, 여기서 부활절 축일을 로마 관습과
일치시켰을 뿐만 아니라, 잉글랜드에 부제 제도를 확립하였다. 또 680년의 하트필드 회의에서는
그리스도 단성설을 단죄하였으며, 679년에는 에그프리드 왕과 에텔레드 왕 사이의 평화 조성자로
활약하여 그들의 전쟁을 종식시켰다. 성 테오도루스는 전 영국의 초대 대주교였다.
따라서 그는 영국 교회를 선교지에서 제도적인 교회로서의 틀을 확정한 인물이었다.
그는 타르수스의 테오도루스라고도 불린다.
 
 
 
 
 
 
 
    ▶프란치스코(9.19)  
 
성인명 프란치스코(Francis)
축일 9월 19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증거자, 수사
활동지역 캄포로소(Camporosso)
활동연도 1804-1866년
같은이름 방지거, 프란체스꼬, 프란체스꾸스, 프란체스코, 프란체스쿠스, 프란치스꼬, 프란치스꾸스, 프란치스쿠스, 프랜시스

 


   성 프란치스코는 이탈리아 북부 리구리아 해안의 소도시인 캄포로소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 18세 되던 해에 그는 콘벤투알 수도자 한 분을 우연히 만나 자신의 성소를 확인하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세스트리 포빈테 수도원에 갔으나 3회원으로 받아 들여졌을 뿐이었다.
더욱 엄격한 생활을 원하던 그는 즉시 이곳을 떠나 카푸친회에 들어갔고,
여기서 프란치스코란 이름으로 서원하였다.

   평수사인 그는 주로 병자를 돌보는 일을 하다가 원장의 지시를 받고 탁발을 시작하였으나
마음에 들지 않아 고통이 뒤따랐다. 어떤 때에는 빵 대신 돌을 주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10년 동안이나 겸손하게 탁발한 결과 그는 뛰어난 성덕을 닦을 수 있었다.
그는 ‘파드레 상토’즉 성인 신부로 통할만큼 그를 모르는 사람이 없었고 그의 덕을
흠모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1866년 제노바 지방에 콜레라가 창궐했을 때 그는 앞뒤를
가리지 않고 환자들을 돌보다가 자기 자신도 희생자가 되어 하느님의 품에 안겼다.
그는 1929년에 복자품에 올랐고, 1962년 교황 요한 23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