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聖人]들과 함께

2월 4일 발루아의 聖女요안나님..등

H-Simon 2011. 2. 4. 05:59

 

 

2월 4일(금)

발루아의 聖女요안나님..등

 

 

  

 

 
발루아의 성녀 요안나(Joanna) 

 

                                                                            

 

 
 
 
 
   ▶요안나(2.4)
 
성인명 요안나(Jane)
축일 2월 4일
성인구분 성녀
신분 왕비, 설립자
활동지역 발루아(Valois)
활동연도 1464-1505년
같은이름 요한나, 잔, 잔느, 쟌, 제인, 조안, 조안나, 조한나

 

발루아의 성녀 요안나(Joanna)


   발루아의 성녀 요안나(Joanna de Valois) 1464년 4월 23일
프랑스 파리(Paris)에서 당시의 왕인 루이 11세(Louis XI)
왕비인 사부아(Savoie)의 샤를로트(Charlotto)의 딸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육체적으로 건강이 좋지 않고
더욱이 곱사등이에 마마 자국까지 있었기 때문에
국왕인 그녀의 부친은 그녀를 매우 냉대하였다.

   그러나 태어난 지 두 달 만에 오를레앙(Orleans)의 공작인 루이(Louis)
결혼하기로 정해졌기 때문에 성녀 요안나는 12세가 되던 해에
여러 가지 정치적인 정황에 따라 결혼할 수밖에 없었다.
결혼 후 오를레앙의 공작은 그녀를 무시하고 혐오했으나,
이러한 모진 대우들을 그녀는 고결한 성품으로 이겨냈다.
 
후에 루이 12세로 왕위에 오른 오를레앙의 루이 공작은
자신의 결혼은 루이 11세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루어진 것이므로
무효라고 선언하였다.
성녀 요안나는 그의 이런 주장이 타당하다고 인정해 주었다.
결국 혼인무효와 함께 왕비의 자리에서 물러나
베리(Berry)의 공작으로 봉해진 성녀 요안나는
자신의 영지를 왕국 안에서 가장 지혜롭게 운영하였다.

   그녀는 가난한 병자와 전염병 환자 구호, 주거 시설 복구,
가난한 일꾼들의 급여 인상, 여자 어린이들의 교육, 가난한 학생들을 위한
장학기금 모금, 수도원 개혁 등을 계획에 따라 실천하였다.
그러던 중에 그녀는 작은 형제회 회원이자 자신의 고해사제였던
가브리엘 마리아(Gabriel Maria, 8월 27일) 신부의 도움으로 신심 깊은
10명의 여성들을 모아 관상 수도원인 '성모 영보 수녀회'를 설립하였다.

   성녀 요안나는 자신이 세운 수녀원에서 1504년에
가브리엘라 마리아(Gabriella Maria)라는 수도명으로 서원을 했지만,
사망할 때까지 자신의 궁에서 살아야만 했다.
그녀는 남모르는 고행과 여러 번의 신비로운 종교체험을 한 후
1505년 2월 4일 부르주(Bourges)에서 사망하였다.
성녀 요안나는 1742년 4월 21일 교황 베네딕투스 14세(Benedictus XIV)에 의해
시복되었으며, 1950년에 교황 비오 12세(Pius XII)에 의해 시성되었다.
 
 
 
    ▶안드레아 코르시노(2.4)
 
성인명 안드레아 코르시노(Andrew Corsinus)
축일 2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활동지역 피에졸레(Fiesole)
활동연도 1302-1373년
같은이름 안드레아스, 앙드레, 앤드루, 앤드류, 코르시누스, 코르시니

 

피에졸레의 성 안드레아 코르시노(Andreas Corsinus)


   1302년 이탈리아의 피렌체(Firenze)에서 태어난
성 안드레아 코르시누스(Andreas Corsinus, 안드레아 코르시노)
어린 시절 성질이 고약한 문제아였는데,
갑작스럽게 마음을 고쳐먹고
1317년 피렌체의 카르멜회에 입회하였다.
 
그는 아주 모범적인 수도자로 변신하였다.
그는 프랑스 파리(Paris)와 아비뇽(Avignon)에서 수학한 후
1349년 피에졸레의 주교로 선임되었다.
그러나 그는 이 직책을 모면하려고 멀리 도망을 쳐서
엔나(Enna)의 카르투지오 수도원에 몸을 숨겼으나 이내 발견되어
결국 주교 축성식을 가졌다.
 
주교로서 성 안드레아는 분쟁을 조정하는 특별한 재능을 보였다.
그 때문에 그는 볼로냐(Bologna) 시의 불안을 화해시키는
교황사절로 임명되어 맹활약을 하였다.
그는 1374년 시복되었고, 1629년 4월 29일
교황 우르바누스 8세(Urbanus VIII)에 의해 시성되었다.
 
1737년 코르시니(Corsini) 가문 출신인 교황 클레멘스 12세(Clemens XII)
로마(Roma)의 성 요한 라테라노 성당에 그를 기념하는 성당을 세웠다.
 
 
 
    ▶요한 데 브리토(2.4)
 
성인명 요한 데 브리토(John de Britto)
축일 2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647-1693년
같은이름 요안네스, 요한네스, 조반니, 조안네스, 조한네스, 존,

 

성 요한 데 브리토(Joannes de Britto)


   포르투갈 리스본(Lisbon) 출신의 예수회원인 성 요한(Joannes)
1673년에 인도 선교사로 파견되어 주로 마두라(Madura) 지역에서 선교하였다.
 
그는 될 수 있는 대로 주민들의 언어와 관습을 따르려고 노력하였으나
끝내 죽음을 피하지는 못하였다.
마라바(Marava) 지방의 어느 개종자가 자기 아내들을 포기한 사건이 일어났다.
그곳은 일부다처주의가 성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 소문을 들은 사람들이 그를 미워하기 시작하면서 박해가 일어났다.
 
결국 그는 오리우르(Oriyur)에서 참수형을 당했다.
그는 1852년 2월 17일 교황 비오 9세(Pius IX)에 의해 시복되었고,
1947년 6월 22일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성되었다.
 
 
 
     ▶테오필로(2.4)
 
성인명 테오필로(Theophilus)
축일 2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주교, 통회자
활동지역 아다나(Adana)
활동연도 +6세기경
같은이름 떼오필로, 떼오필루스, 테오필루스

 

아다나의 성 테오필로(Theophilus)


   독일 브라운슈바이크(Braunschweig)의 간데스하임(Gandersheim) 수녀원의
로스비타(Hrosvitha)가 쓴 10세기의 라틴어 연극 작품에는
성 테오필루스(테오필로)가 실리시아(Cilicia) 지방 아다나 교구의
주교로 묘사되고 있는데, 그는 겸손한 주교였다고 한다.

   로스비타가 전하는 다소 전설적인 이야기에 의하면
그는 어떤 사람에 의해서 교회의 직책에서 면직되자
사탄과 계약을 맺고 난폭하게 행동한 어떤 주교였다.
후일 그 주교는 회개하고 성모님께 간청하여 용서를 구하였으나
아침에 일어나 보니 자기 가슴에 사탄에게 서약한 증서가 놓여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더욱 간절히 통회하고 공식적으로 자기 죄를 고백하였으며
그 증서를 교우들이 보는 앞에서 불태웠다.
그런데 사실은 그가 바로 성 테오필루스였다고 한다.
 
 사실 성 테오필루스의 이야기는 후일 독일의 시인이자 극작가인
괴테(Goethe)가 파우스트(Faust)를 쓰는데 기초적인 소재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