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묵상

2011년 3월 12일[(자) 재의 예식 다음 토요일]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H-Simon 2011. 3. 12. 04:00

 

                    오 늘 의   묵 상           H-Simon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

 

♥ 복음 말씀 ♥

 

 

+. 그때에 예수님께서는 밖에 나가셨다가 레위라는 세리가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레위는 모든 것을 버려둔 채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

레위가 자기 집에서 예수님께 큰 잔치를 베풀었는데, 세리들과 다른 사람들이 큰 무리를 지어 함께 식탁에 앉았다. 그래서 바리사이들과 그들의 율법 학자들이 그분의 제자들에게 투덜거렸다. “당신들은 어째서 세리와 죄인들과 함께 먹고 마시는 것이오?”

예수님께서 그들에게 대답하셨다. “건강한 이들에게는 의사가 필요하지 않으나 병든 이들에게는 필요하다. 나는 의인이 아니라 죄인을 불러 회개시키러 왔다.”

(루카 5,27-32)

 

 

♥ 오늘의 묵상 ♥

 

 

예수님께서 세관에 앉아 있는 레위를 보고 무슨 말씀을 하셨을까요?

어느 분이 대답하시기를, “너 행복하냐?”라고 하셨을 것 같다고 했습니다.

세리라는 소리를 들으며 돈이나 모으고, 죄인 취급을 받으며 사는 것이

정말 행복한지를 예수님께서 물어보셨을 것이라는 것입니다.

예수님께서 레위에게 하셨을 것이라는 그 질문은 사실은 이런 묵상을 한 바로

그 사람에게 던지신 물음이기도 합니다.

가끔씩 우리도 자신에게 ‘나는 진정 행복한가?’ 하고 정직하게 물어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진정 행복하지 않다면, 무엇이 문제인지 깊이 성찰해 보아야 합니다.

잠시 느끼는 만족을 행복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됩니다.

우리 삶에서 잠시 머물다 사라지는 것은 사실 행복을 주지 못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것이든 그것이 영원한 것이 아니라면, 그 안에 이미 언젠가는 그 기쁨을 잃어버릴

‘허망한 미래’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언젠가는 사라지고 말 것을 가지고 우리 삶에서 진정한 행복을 말할 수는 없습니다.

우리 삶에서도 우리가 하는 행동, 하고 있는 일,

추구하는 이상이 ‘영원한 것’에 가 닿아 있지 않으면 진정한 행복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언젠가는 허망한 슬픔으로 바뀌고 말기 때문입니다.

예수님께서 레위에게 “나를 따라라.” 하고 말씀하신 이유도,

레위의 그 삶이 결코 행복해 보이지 않으셨기 때문입니다.

내면에 그늘을 안고 살면서 결코 행복할 수 없었던 것입니다.

레위가 예수님을 따라나선 새로운 삶은 영원한 가치를 가진 것입니다.

다시 말해, 레위는 진정한 내면의 행복을 찾은 것입니다.

우리도 그런 행복을 찾아야 합니다.

 

 

성부와 성령과 함께..

 

 

2011년 3월 12일

                                 H-Simon

 

 

 

주님, 제게 당신의 길을 가르치소서. 제가 당신의 진리 안을 걸으오리다.


주님, 귀를 기울이소서, 제게 응답하소서. 가련하고 불쌍한 이 몸이옵니다.

제 영혼 지켜 주소서. 당신께 충실한 이 몸, 당신 종을 구해 주소서.

당신은 저의 하느님, 당신을 신뢰하나이다.

 

주님, 제게 당신의 길을 가르치소서. 제가 당신의 진리 안을 걸으오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