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聖人]들과 함께

4월17일 福女키테리 데카크위타, 福女클라라님..등

H-Simon 2010. 4. 16. 19:15

 

 
4월17일(토)
福女키테리 데카크위타, 福女클라라님..등

 

 

캐나다의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Kateri Tekakwitha)

 

 

 

 

16.jpg

 

 

 

 

<일  람>   ** 표시는 성인 개별로 전기를 수록하신 분      ☞....함께 참조할 같은 내용임

번호   성 인 명   영 어 명   축 일   신 분   지 역   연 도 
1 돈난 Donnan 4월 17일 수도승,순교자   +617년경
2 란데리코 Landericus 4월 17일 주교 메스(Metz) +8세기
3 로베르토 **  Robert 4월 17일 설립자,수도원장 세즈 디외(Chaise-Dieu) +1067년
4 마르치아노 Marcian 4월 17일 순교자   +연대미상
5 마팔리코 Mappalicus 4월 17일 순교자   +250년경
6 바오로 Paul 4월 17일 수도승,순교자   +856년
7 베드로 Peter 4월 17일 부제,순교자   +연대미상
8 스테파노 하딩**  Stephen Harding 4월 17일 수도원장   +1134년
9 아니체토**  Anicetus 4월 17일 교황,순교자   +166년경
10 복자 야고보 James 4월 17일 은수자 체르퀘토(Cerqueto) +1367년
11 복자 에베르하르도 Eberhard 4월 17일 수도원장 마륵탈(Marchthal) +1178년
12 엘리야 Elias 4월 17일 신부,순교자   +856년
13 이시도로 Isidore 4월 17일 수도승,순교자   +856년
14 인노첸시오 Innocent 4월 17일 주교 토르토나(Tortona) +350년경
15 복자 제르비노 Gervinus 4월 17일 수도원장   +1117년
16 복녀 카테리 테카크위타**  Kateri Tekakwitha 4월 17일 과부 캐나다(Canada) 1656-1680년
17 복녀 클라라**  Clare 4월 17일 과부,수녀 피사(Pisa) 1362-1420년
18 판타가토 Pantagathus 4월 17일 주교 비엔(Vienne) +540년
19 포르투나토 Fortunatus 4월 17일 순교자   +연대미상
20 헤르모제네 Hermogenes 4월 17일 봉사자,순교자   +연대미상

총 20 성인
                 

 

  

 

    ▶카테리 테카크위타(4.17)
 
 
성인명 카테리 테카크위타(Kateri Tekakwitha)
축일 4월 17일
성인구분 복녀
신분 과부
활동지역 캐나다(Canada)
활동연도 1656-1680년
같은이름 가타리나, 까따리나, 까떼리, 카타리나, 캐서린


   캐나다 이로쿼이(Iroquois) 인디언들에게 체포된 알곤퀸의 딸인

카테리 테카크위타는 모호크족(Mohawk) 인디언 추장과 결혼하였다.

그녀는 1676년에 예수회 선교사인 쟈크 드 랑베르빌 신부에 의하여

그리스도교로 개종하였으나, 그녀의 신앙을 반대하는 부족과 친척들의

질시와 학대를 이기지 못하여 고향을 떠났다.

밀림 지대를 거쳐 200마일의 거리를 헤맨 끝에 몬트리올과 가까운

 어느 그리스도교 인디언 마을에 당도하였다.

그녀는 1677년 성탄절에 첫영성체를 하였고,

1679년에는 정결서원을 발하고 그리스도께 자신을 봉헌하였다.

   그녀는 캐나다의 코프나와가(Caughnawaga)에서 선종하였는데,

그녀의 성덕이 뛰어나 만인의 공경을 받기 시작하였다.

특히 그녀는 ‘모호크족의 백합화’라고 불리며,

1980년 6월 22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하여 시복되었다.

카타리나 테카크위타(Catharina Tekakwitha)로도 불리는 그녀의 축일이

미국에서는 7월 14일에 기념되고 있다.

 

 

 

   ▶로베르토(4.17)
 
 
성인명 로베르토(Robert)
축일 4월 17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설립자, 수도원장
활동지역 세즈 디외(Chaise-Dieu)
활동연도 +1067년
같은이름 로버트, 로베르또, 로베르뚜스, 로베르투스

 


   프랑스 중남부 오베르뉴의 세즈 디외 수도원의 초대 원장인

성 로베르투스 드 튀랑드(로베르토)는 사제가 된 후부터 병자들에 대한 뛰어난

사랑과 하느님에 대한 공적 예배를 정성껏 봉헌한 것으로 유명하다.

 

한때 그는 클뤼니(Cluny)로 가서 수도자가 될 생각을 가졌지만,

성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마(Roma)에 있는 사도들의 무덤을 순례하였다.

돌아오는 길에 스테파누스(Stephanus)라는 기사를 만나 회개시켰고,

그로 하여금 이 세상을 떠나도록 권유하는데 성공하여 두 사람은

오베르뉴 인근 브리우드(Brioude)에 은둔소를 세웠다.

 

그들은 기도생활에 전념하면서 손수 노동하여 얻는 수확물을 가난한 사람들을

돕는데 사용하였다.

그 후 제자들이 몰려들어 큰 수도원으로 발전했는데 그것이 바로

세즈 디외('하느님의 집' 또는 '하느님의 의자'라는 뜻) 수도원이다.

그는 성 베네딕투스의 수도 규칙을 채택했는데 3백여 명의 수도자들이 있었다.

그는 성 아델렐무스(Adelelmus, 1월 30일) 영적 교사였으며 1095년에 시성되었다.

 

 

 

    ▶스테파노 하딩(4.17)
 
 
성인명 스테파노 하딩(Stephen Harding)
축일 4월 17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수도원장
활동지역  
활동연도 +1134년
같은이름 스더, 스테파누스, 스테판

 


   영국 남부 도싯셔 지방 쉐르본 태생인 성 스테파누스 하딩(스테파노)은

고향의 어느 수도원에서 교육을 받고, 스코틀랜드와 파리 그리고 로마 등지를

여행하고 돌아오는 길에 몰렘(Molesme)의 은수자 그룹에 가입하였다.

 

이때 그는 성 로베르투스(Robertus, 4월 29일)와

성 알베리히(Alberich, 1월 26일)의 지도를 받는 행운을 얻었다.

1094년 원장과 4명의 다른 수도자들과 함께 또 다른 영적 생활을 추구하기

위하여 그곳을 떠날 허락을 받았다.

성 로베르투스는 시토(Citeaux)에 수도원을 세우고

성 스테파누스를 장상으로 임명하였다.

만년에 그는 맹인이 되었고 시토에서 운명하였으며, 1623년에 시성되었다.

 

 

 

 

  아니체토(4.17)
 
 
성인명 아니체토(Anicetus)
축일 4월 17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교황,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166년경
같은이름 아니체또, 아니체뚜스, 아니체투스, 아니케토, 아니케투스

 

교황 성 아니체토(Anicetus)


   시리아의 에메사(Emessa) 출신인 성 아니케투스(아니체토)

교황 비오 1세의 뒤를 이어 155년에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마르키온주의(Marcionism)와 영지주의(Gnosticism)를 적극적으로

배격하는데 힘을 기울였다.

그의 재위 기간에 부활절 날짜를 두고 동방과 서방 교회의 논쟁이 벌어졌다.

사도 요한(Joannes, 12월 27일)의 제자인 스미르나(Smyrna)의

성 폴리카르푸스(Polycarpus, 2월 23일)가 로마에 있는 그를 방문하여

부활 축일 날짜에 관해 논의하였다.

결국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였지만 서로의 관행을 존중하기로 했으나,

이후 '부활 축일 논쟁'은 더욱 가열되어 다음 세기까지 열띤 논쟁을 벌였다.

 

 

 

 

    ▶클라라(4.17)
 
 
성인명 클라라(Clare)
축일 4월 17일
성인구분 복녀
신분 과부, 수녀
활동지역 피사(Pisa)
활동연도 1362-1420년
같은이름 감바꼬르따, 감바코르타, 글라라, 끼아라, 클레어, 키아라

 


   클라라 감바코르타 피사 공화국의 우두머리가 된

피에트로 감바코르타의 딸로 1362년에 태어났다.

 피사의 성 베드로(Petrus, 6월 17일)는 그녀의 오빠로서 일곱 살이 많다.

그런데 클라라가 일곱 살 때 그의 양친이 약혼을 시켰는데,

그녀는 이 약혼미사 중에 “주님, 제가 당신만을 사랑하는 줄 아시겠지요.”

하고 말하여 주위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고 한다.

12세 때 클라라는 억지로 남편의 집에 보내졌는데,

그녀는 이때 이미 심한 고행을 하고 있던 중이었다. 

   그녀는 특히 자비심이 뛰어났다.

어린 신부인 클라라가 시댁의 재산을 가난하고 병든 사람들을 위하여

사용하기 시작하였으나, 그녀의 시부모는 며느리의 착한 뜻을 알고

오히려 도와주었다고 한다.

그러던 중 그녀가 15세 되던 해에 남편과 자신이 열병에 걸려서 과부가 되었다.

주위에서는 재혼하라고 성화였으나 그녀는 시에나(Siena)의 성녀

카타리나(Catharina, 4월 29일)의 편지로 힘을 얻고 피사로 갔다.

   그 후 클라라는 머리를 깎고 남몰래 클라라회에 입회하였다.

이 사실을 알게 된 그녀의 오빠들은 수녀들을 위협하면서 그녀를 집으로 데려갔고,

친정집에서 5개월 동안이나 독방에 갇혀 있었다.

그녀는 아무 것도 먹지도 마시지도 않았다.

마침내 그녀의 아버지는 가까운 곳에 있는 도미니코회에 입회하도록 허가하였다.

시에나의 성녀 카타리나의 가르침은 클라라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고,

 일생동안 참으로 열심한 수도생활을 하였다.

그녀가 운명하기 전에 그녀의 입가에는 밝은 미소가 피어올랐다고 한다.

클라라는 57세에 운명하였고, 1830년에 그녀에 대한 공경이 승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