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聖人]들과 함께

11월4일(수) 聖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학자님..등

H-Simon 2009. 11. 3. 22:49

 

 
11월4일(수) 聖 가롤로 보로메오 주교학자님..등
        

                     하느님 아버지,

                    성인 성녀님들의 공로에 힘입어

                    예수님을 닮아 가려는 저희를,

                    아버지의 한 없는 사랑으로 강복해 주옵소서.

                    우리 주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드리옵니다....아멘

         

 

<일 람>......** 표시는 성인 개별로 전기를 수록하신 분    ..함께 참조할 내용

번호   성 인 명   영 어 명   축 일   신 분   지 역   연 도 
1
    보로메오 **
Charles Borromeo 11월 4일 추기경 밀라노(Milano) 1538-1584년
2 니칸데르 Nicander 11월 4일 주교,순교자   +연대미상
3 모데스타 Modesta 11월 4일 수녀원장 트리어(Trier) +680년
4 비탈리스 Vitalis 11월 4일 순교자   +304년
5 아그리콜라 ☞4 Agricola 11월 4일 순교자   +304년
6 아만시오 Amantius 11월 4일 주교 아비뇽(Avignon) +연대미상
7 아만시오 Amantius 11월 4일 주교 로데즈(Rodez) +4세기경
8 에메리코  Emeric 11월 4일 왕자 헝가리(Hungary) 1007-1031년
9 요안니치오 Joannicius 11월 4일 은수자,수도원장 올림푸스산(Mount Olympus) 754-846년
10 John Zedazneli 11월 4일 순교자 그루지야(Georgia) +580년
11 클라로 Clarus 11월 4일 신부,순교자 루앙(Rouen) +8세기?
12 파트로바 Patrobas 11월 4일 바오로의 제자 로마(Roma) +1세기
13 포르피리오 Porphyrius 11월 4일 순교자 에페수스(Ephesus) +171년
14 복녀 Frances Amboise 11월 4일 과부,수녀원장   +1485년
15 프로쿨로 Proculus 11월 4일 주교,순교자 오툉(Autun) +717년경
16 피에리오 Pierius 11월 4일 신부 알렉산드리아(Alexandria) +310년
17 필로로고 Philologus 11월 4일 바오로의 제자 로마(Roma) +1세기
18 헤르마스 Hermas 11월 4일 신부,순교자   +연대미상
총 18 성인

 

 

 

   ▶가롤로 보로메오(11.4)
 
성인명 가롤로 보로메오(Charles Borromeo)
축일 11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추기경
활동지역 밀라노(Milano)
활동연도 1538-1584년
같은이름 가롤루스, 까롤로, 까롤루스, 샤를, 찰스, 카롤로, 카롤루스,


   성 카롤루스 보로메오는 1538년 10월 2일 이탈리아 북부 마죠레 호수 근처의
아로나 성(城)에서 지베르토 백작과 교황 비오 4세의 여동생 마르게리타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어릴 때부터 교회에 봉사하고자 하는 열망이 커서 12살 때 산 그라시니아노수도원에서
삭발례를 받았다. 그 후 밀라노로 가서 알치아티에게서 교육을 받았으며,
1552년 파비아 대학교에 진학하여 1559년에 민법과 교회법 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1559년 12월 25일 그의 외삼촌인 지안 안젤로 추기경이 비오 4세라는 이름으로 교황직을
계승하게 되었는데, 새 교황은 조카인 카롤루스 보로메오를 로마로 불러들였다.
1560년 추기경으로 서임된 보로메오가 가장 투철한 사명감을 갖고 일했던 분야는
교황청 국무성 장관으로서의 직무였다. 특히 그는 트렌토 공의회 제3회기 동안 그의 외삼촌인
교황에게 가장 열성적이고 믿음직한 협력자이자 지원자였다.
카롤루스는 공의회 운영의 훌륭한 지도자로서 임무를 수행했고,
마지막 회기에서 칙서들을 성문화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

   1562년 그의 형 페데리고가 세상을 떠났을 때 보로메오 가(家)의 수장 직책을 거절하고
1563년 7월 17일 사제 서품을 받고 성직자로서의 신분에 맞는 생활을 하려고 더욱 분발하였다.
그는 트렌토 공의회가 요청한 교리교육과 미사 전례 그리고 성무일도 작업들을 두루 감독하였으며,
강력한 반대에도 불구하고 강도 높은 개혁을 단행하여 그가 대주교로서 교구장으로 재임하고 있던
밀라노 교구를 모범적인 주교좌로 만드는 놀라운 성과를 얻었다.

   또한 그는 개혁 운동의 일환으로 성직자와 평신도의 윤리와 생활 태도 개선을 위하여
유익한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성직자 교육을 위한 신학교 설립, 어린이들의 종교 교육을 위한
그리스도인 교리회 설립 및 자신의 교구 내에 거주하는 예수회를 격려하였다.
또한 그는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한 지원을 제도적으로 보완하였고,
프랑스 두에의 영국계 대학을 지원하는데 있어서도 호의적이었으며,
자신의 재임 기간 동안에 11차례의 교구 시노드(Synod)와 6번의 관구 공의회를 개최하였다.

   그는 사제직을 지망하는 후보자들을 위한 단체의 성격을 지닌
‘성 암브로시우스의 헌신회’(지금은 성 카롤루스의 헌신회)를 설립하였고,
주로 설교 활동에 종사하면서 프로테스탄트의 침입을 저지하는데 힘을 기울이고,
타락한 신자들을 다시 교회로 불러들이는데 정력을 기울였다.

   1567년 그는 주교의 관할권에 대한 밀라노 의회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쳤다.
사건의 발단은 그가 나쁜 생활에 물든 평신도 여러 명을 투옥시킨 것으로 주교좌가 시당국에 의하여
심한 공격을 받게 되자 그는 그들을 모두 단죄하였다.
재차 그의 주교직이 산타 마리아 델라스카라의 시의원들로부터 도전을 받자,
교황은 그를 후원하고 시의회는 그들의 입장을 고수함으로써 큰 파문을 일으킨 일이 있었다.
그는 어느 자객으로부터 상처까지 입었다.
1576년 페스트와 기근으로 온 주민들이 큰 난리에 빠졌을 때,
그는 한 달 동안 매일 3천여 명의 주민들에게 음식물을 제공하여 이 어려운 난국을 극복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시의회와 교회 관할권 사이의 분쟁은 이후에도 계속되었으나
카롤루스는 그 때마다 현명하게 대처하였다.

   그는 영국 선교 길에 오르는 수많은 젊은 사제들을 접견하고 지원하였으며,
1583년에는 스위스 교황사절이 되어 그 지역의 프로테스탄트를 상대로 설교하여 놀라운 성과를
거두었다. 그는 1584년 11월 3일 밤에 밀라노에서 사망하여 주교좌성당의 중앙 제대 아래 묻혔다.

   그는 가톨릭 개혁운동의 기수들 가운데 한 사람이며 학문과 예술의 수호자였다.
비록 그가 권력을 휘두르는 위치에 있었지만 항상 겸손하게 처신하고 성덕을 높임으로써
개혁의 반대자들로부터도 칭송을 받을 정도였다.
그는 자신의 성직자나 수도자 그리고 평신도들에게 권력을 남용한 적이 없다는 평을
들었다. 카롤루스 보로메오는 1610년 11월 1일 교황 바오로 5세에 의하여 시성되었다.

 
 
 
 
 
  ▶비탈리스(11.4)
 
성인명 비탈리스(Vitalis)
축일 11월 4일
성인구분 성인
신분 순교자
활동지역  
활동연도 +304년
같은이름 비딸리스
 

   이탈리아 볼로냐의 주교 에우세비우스에 의하면 성 비탈리스와 성 아그리콜라는
볼로냐의 유대인 묘지에 안장되어 있었다. 그래서 그들의 유해를 발굴하여 이장할 때에 밀라노의
성 암브로시우스가 참석하여 성 비탈리스와 성 아그리콜라의 순교행적을 설명했다.

   성 아그리콜라는 원래 볼로냐 사람으로 덕행이 뛰어난 명문가의 자녀이고,
성 비탈리스는 그의 종이었는데 아그리콜라의 표양을 본받고자 그리스도인으로
개종하였다. 처음에 이들은 원형 극장에 던져졌으나 아무런 해도 입지 않았다.
그 후 아그리콜라는 십자가형을 받고 순교하였다.
 
☞ 5 번..함께 참조할 내용입니다.